生年不滿百(생년불만백)
가슴 속에 쌓였던 世塵(세진)을
깨끗이 떨쳐 버리고
고요한 산 속을 걸으니
마음이 그렇게도 상쾌할 수가 없었다.

無我(무아)의 세계는
바로 나의 마음 속에 있는 것을,
왜 이제까지 헛된 굴레와
부질없는 욕망에 사로잡혀
번뇌만 거듭하여 왔는가.

生年不滿百(생년불만백)
常懷千歲憂(상회천세우)
백년도 다 못 사는 주제에
천년의 근심을 안고
살아가는 것이 인생이라 했던가
아침저녁으로 바라보던
그 산아요 그 물이건만
비어 있는 마음으로 바라보니
새삼스럽게 아름다워 보였다.

아아,
산과 물이 이렇게도 좋은 것을
이제까지는 왜 모르고 살아 왔던가.
문득 옛詩 한 수가 머리에 떠 오른다.

水綠山無厭 (수록산무압)
山淸水自親 (산청수자친)
浩然山水裡 (호연산수리)
來往一閑人 (래왕일한인)
물이 푸르러 산이 좋아하고
산이 푸르러 물이 좋아라네
시원스러운 산과 물 사이를
한가한 나그네 홀로 걸어가네.

누군가가 자기를 노래해 준 것 같았다.
산중에는 오가는 사람조차 없이
흐르는 물소리와 지저귀는 새소리만이
길손의 귀를 사뭇 싱그럽게 해 주고 있었다.

오늘 가다 싫으면 내일 가고,
동으로 가다 싫으면
서로 가면
그만인 無軌道(무궤도)의 旅路(여로),
물가에 털썩 앉아서
목청을 돋우어
옛 시조 한 수를 읊조려 본다.

나비야 청산 가자
범나비 너도 가자
가다가 저물거든
꽃에 들어 자고 가자
꽃에서 푸대접하거든
잎에서나 자고 가자.
그 누가 읊은 시조였던가.
自由自在(자유자재)란 바로 이런 것이 아니겠는가.

깊이 산 속으로 들어가면서
다시 조선왕조의 개국공신이요,
藝文館 大提學(예문관 대제학)을 지냈던
선비
仙庵 劉敞(선암 유창)의 <幽興(유흥)>이라는
제목의 시가 떠오른다.

步逐閒雲入翠林 (보축한운입취림)
松風澗水洗塵襟 (송풍한수세진금)
悠悠浮世無知己 (유유정세무지기)
只有山禽解我心 (지유산금해아심)
한가한 구름 따라 숲 속에 들어서니
솔바람 냇물소리 옷깃을 씻어주네
뜬 세상에 이 흥취를 아는 사람 그 누구랴
다만 저 산새만이 내 마음을 알아 주리.

앞 사람의 時調(시조)며 뒷사람의 漢詩(한시)며,
모두가
禪味(선미)에 넘치는 詩歌(시가)임에 틀림이 없어 보였다.

가도 가도 보이는 것은
산과 나무와 물 뿐이요,
들리는 것은 새소리와
물소리 바람소리뿐,
좀처럼 人家(인가)는 보이지 않는다.
- 옮긴 글 -
우리 님들~!
공감 "콕" 눌러 주시
길 부탁 드리구요!!
健康조심하시고
親舊들 만나
茶 한잔 (소주한잔)나누시는
餘裕롭고 幸福한
나날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