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맙습니다"를 사용합시다.

2016. 11. 23. 10:10지맥산행/생활상식? 알면 도움~

고맙습니다"라는 인사말   

 

'고맙다'는 '남의 은혜나 신세를 입어 마음이 느껍고 흐뭇하다, 남이 베풀어 준 신세나 은혜에 대해 즐겁고 흐뭇하다'는 뜻을 지닌 형용사입니다.



                                                       (느껍다 : 어떤 느낌이 사무치게 일어나다.)

'고마움'이라는 명사형을 만들어 쓸 수는 있으나, 이런 마음을 나타내는 명사는 없습니다.

“고맙습니다”의 원형은 “고맙다”입니다.

 

고맙다라는 말은 “고마”라는 말에서 유래된 것으로  고마라 하는 것은 ㅁ - 검 - 곰 -고마라는 말로서 神을 상징 하는 말입니다.

 

즉 우리 민족은 神을 곰 또는 검이라고 표현하였고,  우리의 민족 조상의 神을 한배검이라고 했으니
검은 신이라는 뜻입니다.

 

이 '고마'라는 신에 대한 형용사적 표현으로 '신같다'를 

곰같다 - 곰답다에서 고마답다의 뜻으로 된 것입니다.

'고맙다'는 '존귀하다, 존경하다'는 뜻을 지닌 말입니다.


"  고맙습니다!" 라는 표현의 인사말은 세상의  언어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말입니다.

 

'고맙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은혜를 베푼 상대방을) 참으로 신과 같이 거룩하고
 존귀하게 생각합니다'라는 뜻이 될 것입니다.

 

어마어마한 칭송의 말이며,  지극히 상대방에 대한 극존칭어입니다.

'고맙습니다'라는 이처럼 좋은 우리말을 애용한다면, 서로 존중하고 존중받는 사회, 서로를 거룩한 신처럼 예우하는 사회가 되겠죠.

 

그런데 우리는 현재 이 고맙습니다라는 훌륭한 말을 버리고 감사합니다라는 의례적인 일본식 한자어를 즐겨 사용하고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입니다.

'감사'는 일본식 한자어입니다.

 

사전을 옮겨 보겠습니다.

 かんしゃ 感謝
かん-しゃ[感謝] <スル>
감사. ......복합어....∼さい[∼祭] 추수 감사절.

일제강점기에 들여와 우리말처럼 쓰이고 있는 말이 '감사'입니다.

'감사'는 명사이고, '감사하다'는 동사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하라.’, ‘감사해.’,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 ‘ㄳㄳ’, ‘고마울 줄 아는 마음, 감사할 줄 아는 사회’... 우리말 속에 가장 친근한 말은 바로 ‘감사’입니다. 그러나, ‘감사’는 ‘고맙다’를 뜻하는 일본에서 만든 한자말입니다.

 

‘감사’를 한자로 적으면, ‘感謝’(감사), 곧, 느낄 감(感), 사례 사(謝) 자 두 가지 글자로 된 하나의 낱말입니다. 본디 일본에서는 ‘감사’가 아닌, ‘간샤’(칸사)(かんしゃ)라고 소리냈습니다〔이러한 일본 한자말이 한국으로 들어와, 한국식 한자 소리인 ‘감사’라는 말로 소리내〔발음하여〕, 우리한테도 꽤나 익숙해져 오늘에도 이릅니다.

한국의 전문가들도, 연예인들도, 방송인들도, 장삿두레〔회사〕 관계자나 종업원들도 귀에도, 눈에도, 우리말처럼 꽤나 익숙해진 한자말인 ‘감사’라는 말투를 이제 그만 써야 하겠죠?  ‘감사’ 보다는 민우리말〔순 우리말인 ‘고맙다’라는 진짜 우리말도 있지 않습니까

 

'감사의 마음'이라는 뜻을 가진 '사의 謝意しゃい'도 일본에서 쓰이는 한자입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의 상당수가 일본식 단어입니다.

일제의 잔재를 청산한다는 의미에서 시작된 '우리말 사랑' 운동은 바람직한 것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단어를 버리는 일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단어를 발굴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거나 하는 노력이 반드시 뒤따라야 할 것입니다.

어쨌거나, 되도록이면 서로를 신처럼 떠받드는 말인 '고맙습니다'를 쓰도록 노력해 보아야겠지요?

 

감사합니다(感謝합니다) → 고맙습니다.
감사하라(感謝하라) → 고마워 하라.
감사해(感謝해) → 고마워.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파스퇴르 유업 광고) → 고맙습니다.

                                                  <민우리말인 ‘고맙습니다’ 하나만 써도 충분함.>


감사(感謝) → 고마움, 고맙다
ㄳㄳ(‘감사, 감사’의 통신어투 나타내기〔표현〕) 

                                                        ‘고마워요.’ 또는 ‘고마워, 고마워’, ‘고마워.’


고마울 줄 아는 마음, 감사(感謝)할 줄 아는 사회(1990년대 초기의 삼성 기업 광고 가운데) → 고마울 줄 아는 마음, 고마울 줄 아는 사회.

아직도 대한 민국, 엘리트 계층과 어른들, 누리 느낌〔국제적 감각〕을 갖춘 대한 민국 젊은이, 대한 민국 어린이들 여러분께서는 ‘고맙다’, ‘고마움’이라는 말을 버리고, 늘 ‘감사’라는 말을 자주 써대니까, 우리말 지킴이들이 싫어한답니다.

이제 ‘감사’를 그만 쓰시고, ‘고맙습니다.’, ‘고맙다’, ‘고마워’, ‘고마움’ 따위의 여러 민우리말로 나타낸 것〔순 우리말 표현〕을 자주 쓰시면, 보다, 우리에게 잘 어울리고, 고맙게 느껴질 것입니다.


이와 아울러 '고맙습니다'라는 말에 버금가는 의미의 '반갑습니다'라는

말이나 '미안합니다'라는 우리말을 일상적인 언어로 자주 써야 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네이버 지식검색, 선 별마로(선영래)님, 그 외 글을 간추림)                                                --퍼온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