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원한 팔공산 거북바위 나들이

2018. 5. 23. 09:50팔공산 자락

>>>>>팔공산 동봉&염불봉<<<<

0. 일시: 2018. 5. 22.  (08:39~14:35) * 부처님오신날

0. 누구랑: 단사모(필자,OK,가따남,할매)

0. 코스: 탑골-염불암-거북바위-동봉-염불봉-영시암-동화사

0. 거리: 7.5km

오늘은 2562년 부처님 오신날이다. 모처럼 날씨가 쾌청이다. 여장을 준비하고 팔공산으로 오른다. 오르는길은 평소 잘 접하지 않는 거북바위, 염불바위,사자바위(팔공산 동봉 아래)로 올라 암벽과 시원한 조망을 구경한다. 쾌청한 날씨덕에 합천 가야산도 구름위에서 오라고 손짓하듯 보인다. 정말로 경치가 좋은 山景이다. 덕분에 시원한 팔공산을 마음껏보고 온 산길이었다.

 

#1 초입지 탑골입구

 

#2 상상골-이쪽으로 올라서면 염불암으로 가는데 첫 나들이 길이다.

 

#3 염불암-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桐華寺)의 부속암자fh 동화사에서 서북산정으로 3㎞ 지점에 위치하며 928년(경순왕 2)에 영조선사(靈照禪師)가 창건하였다. 고려 중기에 보조국사(普照國師)가 중창하였으며, 1438년(세종 20)에 중창하였다.그 뒤 1621년(광해군 13)에는 유찬(惟贊)이 중창하였고, 1718년(숙종 44)과 1803년(순조 3), 1841년(헌종 7)에 각각 중수하였으며 근대에 이르러서는 1936년에 운경(雲耕)이, 1962년에 혜운(慧雲)이 중건하였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극락전과 동당(東堂)·서당(西堂)·산령각(山靈閣) 등이 있다. 극락전에는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지장보살을 봉안하였는데, 그 후불탱화(後佛幀畵)는 부드럽고 섬세한 기법으로 그린 것으로 1841년의 중수 때 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중요문화재로는 극락전 옆의 암석에 새겨진 마애여래좌상(磨崖如來坐像) 및 보살좌상(菩薩坐像)이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9호로 지정된 청석탑(靑石塔)이 있다. 마애불상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한다.옛날 이 암자에 있던 한 승려가 이 바위에 불상을 새길 것을 발원하였다. 그러던 어느날 암자 주변에 안개가 끼기 시작하는데 7일 동안이나 걷힐 줄을 몰랐다. 7일 만에 안개의 걷힘과 함께 법당에서 나온 승려가 바위 곁에 가보니 발원하였던 불상이 바위 양쪽에 새겨져 있었다고 한다.이 불상은 문수보살이 조각하였다고 전해진다. 또, 염불암이라는 이름은 이 불상이 새겨진 바위에서 염불소리가 들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청석탑은 극락전 앞마당에 있는데, 보조국사가 쌓았다고 하며, 아랫부분 3단이 화강암으로 되어 있고 위쪽 10단이 수마노석으로 된 높이 1.4m의 13층탑이다. 현재는 상층부 5층이 깨어져나가거나 갈라져 있다.이 탑에는 이 절 일대에 칡덩굴을 찾아볼 수 없는 이유와 관련된 전설이 얽혀 있다. 보조국사가 이 탑을 쌓기 위하여 나무로 말을 만들어 타고 서해의 보령과 대천에서 수마노석을 운반해서 돌아오던 도중에 산길을 오르던 목마의 다리가 칡덩굴에 걸려 부러지고 말았다. 보조국사는 이에 크게 노하여 산신을 불러서 암자 부근에 있는 칡덩굴을 모두 없애라고 명령하였는데, 그 이후로 이 암자 아래의 양진암에서 상봉에 이르는 산등성이에는 칡이 자라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이 밖에도 서당 뒤편에는 오인석(五人石)이라 새겨진 책상 세 개 정도의 네모난 바위가 있는데, 이는 고려태조왕건이 견훤과의 싸움에서 패하여 도망갈 때 그의 신하 5명이 쉬었다는 설과, 옛날 다섯 고승이 견성(見性)을 하였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염불암은 동봉 남쪽 아래 해발 900여m에 위치하여 팔공산 내의 암자 가운데 가장 전망이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퍼온글)

 

#4 암벽을 타고 올라 소나무랑 한컷

 

#4-1 거북바위를 오르기 위한 모처럼 급오르막 보조줄도 타본다.

 

#4-2 주변에 산재한 마가목 나무와 꽃

 

#5 산 중턱에서 한숨쉬면서 한장

 

#6 거북바위 정상부분과 바로 아래 지점

 

 

#7 거북바위 맞은편

 

#8 거북바위 정상에서

 

#9 팔공산 동봉(1,167m)-하늘은 새털구름같은 가을동화속에 빠진 듯 시원스러운 운해가 장관을 이루고 있다.

 

#9-1 같이 오른 일행들

 

#10 염불봉 정상

 

#10-1 내려가는 높은 절벽 같은 바위를 누군가 발디딤 구멍을 만들어 놓아서 쉽게 내려갈 수가 있다.

 

#11 염불봉 주변 암벽 들

 

 

 

#12 비로봉 정상과 군부대를 뒷배경 삼아서~내가봐도 날씨가 넘 좋다.

 

#13 불기2562년 부처님 오신날 동화사 행사 일부

 

#14 새롭게 만들어진 동화사 일주문 뒷편의 팔공선문- 이젠 산에서 하산해도 주차장 방향으로 바로 내려가도 될듯하다. 과거엔 철책선이 걸려 있었는데~~~~